인구 절벽으로 표현되면서 인수 소멸 지표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영덕군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나와 우려감이 현실로 나타나는 듯 해 보인다.
영덕교육지원청(사진)이 발표한 올해 관내 초등학교 입학생 수가 그것인데 내용을 살펴보면 전체 11개 학교에서 예정된 신입생은 127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 지역의 대형 학교로 평가되어온 한 학년 두 반의 학생 수와 비슷한 수치로 이런 상황이라면 몇 년 내 초등학교가 대부분 폐교 위기로 이어질 공산이 높다.
전체 학생 수도 초등학교 525명이고 중학교 또한 559명에 불과하다.
이런 사정이다 보니 매년 교원 모집이 현격하게 떨어지고 교육 공무원 모집도 현격하게 줄어들면서 국내 교육 체계마저 크게 흔들리고 있는 형편이라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이런 사정은 우선 각박한 현실 속에 남^여가 만나 결혼하여 임신, 출산과 육아 및 교육까지 거치는 과정이 감당하기 버거운 현실이 출산율 저하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국내 육아 보육 혜택이 비교적 잘 된 집단 중 하나로 평가되는 교원들마저 결혼과 출산을 꺼리는 형편에 일반 서민들이야 오죽 하겠냐는 말에서 인구 절벽은 거스를 수 없는 현상으로 다가오고 있다.이런 사실은 요즘 지역에서 아이들 울음소리가 그친 지 오래된 상황에서 더 나아질 기미가 안 보인다는 것이 문제다.
이에 반하는 교육 현실로 최근 신축하는 학교들에서 학생 수는 감안하지 않고 거대하게 건설하면서 혈세를 낭비하는 것 아닌가하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물론 쾌적한 환경에서 자라나는 아이들과 교사들을 공부하게 하고 근무하게 만드는 것은 시비가 없지만 유지·관리하기도 버거운 현실에 굳이 과거 규모와 같이 해야 하는가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는 현실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편으로 `무덤에서 요람까지' 책임 져 주는 복지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즉 아이가 태어나면 정부나 지자체가 육아·보육을 책임져 주는 대책이 그것이다.
인구 소멸이 우려되는 지자체들 마다 인구 소멸을 걱정하며 여러 대책을 마련하려고 하고 있지만 혈세를 제대로 쓸 줄 모르는 대책은 망국을 앞당길 수밖에 없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