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좁은 부지 확보에 따라 밀집된 공동 주택, 문 앞 가스통만 보이는 콘테이너 박스가 입주 이재민이 2년을 살기에는 너무 답답해 보일 듯. |
이와 별도로 마을 전체가 피해 입어 마을 자체가 소멸할 우려가 있는 마을에 대하여 마을 공동체 회복지원 사업을 추진하는데 영덕군의 경우 2개 사업에 4개 지구로 총 1,120억 원이 투입되며 이는 도내 산불 피해 지역 중 가장 많은 금액으로 평가된다.
재난 복구비와 공동체 회복 사업을 모두 합산하면 전체 복구비(4,820억 원)가 총피해액(2,319억 원) 대비 2배 수준이고, 국비도 피해 시·군 중 가장 많은 3,646억 원을 확보하게 되어 복구 사업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정부의 피해 복구비가 확정됨에 따라 영덕군도 이재민들의 조속한 일상 복귀에 행정력을 더욱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총 800여 동을 설치하는 임시주택사업도 지난 16일 영덕읍 화수리 임시주택 18동 입주를 시작으로 5월 내 최대 물량을 설치하고 입지 여건상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도 6월 중순까지 전부 완료시킨다는 계획이다.
산불 피해 지역 중 철거 작업을 가장 먼저 시작하였고 현재는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어 임시주택 설치는 당초 목표한 대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 하고있다.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2차 피해 예방도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지난달 긴급 현장 점검을 실시한데 이어, 응급 벌채와 임시 방재시설 설치 등 복구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대형 산불 여파로 지역관광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관광 이미지 회복에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영덕 블루로드 피해 구간 중 긴급 복구가 어려운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7월 중 개방하고 온라인 홍보와 영덕 복구 캠페인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산불로 큰 피해를 본 군민의 정신적인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산불 재난 마음 안정'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피해 마을 주민들을 직접 찾아가 피해 복구와 지원 계획을 안내하는 '찾아가는 설명회'도 열어 피해 주민들의 어려움도 꾸준하게 경청하고 있다.
문제는 자치재원이 매우 부족한 영덕군 형편상 515억이라는 막대한 군비 확보가 관건이다. 한편 영덕군이 조성하는 공동 주택도 노령의 가구가 이용하기에는 인상적이라는 평가가 우세한 가운데 문제는 좁은 부지에 밀집된 상황이라 주민들이 주거하는 공간에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입주 이재민의 불만을 어떻게 잠재우느냐가 관건이다.
이에 대해 김광열 영덕군수는 "군비 확보의 경우 영덕군의 자치 재원 형편으로 볼 때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으나 정부의 특별교부세 확보에 총력을 다 하고 일부 기체도 불가피한 만큼 최대한 노력을 통한 해결이 될 것으로 전망이 되고 공동 주택 문제도 워낙 시급한 상황에서 적은 예산으로 부지 확보를 하다 보니 일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이 생겨났다."고 밝히고 "도저히 불가피한 지역을 제외하고 해당 마을 이장과 협의를 통해 이해와 설득을 통해 주민들이 불편 사항을 개선해 낙ㄹ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복구 예산이 확정된 만큼 군민의 일상 회복과 마을 공동체 복원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말하며, "우리 지역공동체가 복구를 넘어서 더 나은 영덕, 더 행복한 영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