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경제

산불 지나갔지만 산불 피해 현재진행중

김상구 기자 입력 2025.04.25 10:40 수정 2025.04.25 10:42

영덕군 산림 소실 16,207ha, 장마철 앞두고 산사태 위험 고조,
뿌리 약해진 산 집중호우 취약 신속한 복구와 사후 대책 마련 요구돼

↑↑ 지난 산불로 영덕군 내 산림이 검게 변해 있는 모습.

[고향신문=김상구기자] 최근 경북에서 발생한 산불은 재앙 수준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에 더해 수많은 이재민이 발생하는 상흔을 남겼다. 특히, 영덕군의 경우 가장 피해가 많은 곳으로 집계가 되면서 복구비용도 상대적으로 부담이 늘어 날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상황에서 영덕군 내 소실된 산림 면적은 16,207ha에 달하면서 산사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특히, 장마철을 앞두고 이러한 우려는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따라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신속한 복구와 사후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화재로 인해 훼손된 산림은 또 다른 재난(산사태)을 야기하기 쉽기 때문으로 산불 이후 소실된 숲의 뿌리가 약해지면서 조금의 비에도 흙이 아래로 쓸려내려갈 위험이 때문인데 집중호우가 내린다면 그야말로 끔찍한 상황을 맞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조속한 산림 복구가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더불어 제방이나 사방댐 등의 시설을 설치해 추가적인 재해를 예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물론 경상북도나 영덕군에서 대책 마련을 하고 있지만 우선 이재민 피해 복구와 보상 등에 많은 소모를 하면서 상대적으로 소홀해질 수 있는 산림 복구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영덕군의 빈약한 자체 예산으로 완벽한 복구는 요원하지만 시급성을 따진다면 어느 사항보다 우선되어야 부분이다. 산사태 위험지역 및 취약지 선별작업과 함께 응급 복구는 물론 사후 대책에 따른 면멸한 설계가 시급히 요구된다.

 

지난 2023년 경북 예천의 산사태로 많은 주민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사례에서 보듯 산사태는 인명과 직결되는 사항인 만큼 복구에 심혈을 기우리는 공무원의 지혜와 열정이 필요하다. 절망 속에서 희망을 붙잡으며 사투하며 대처했던 산불은 지나갔지만 피해는 현재 진행중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고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