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28회 영덕대게축제 시그니처인 대게낚시 체험 프로그램 진행 모습 사진 |
'영덕의 맛, 영덕의 멋'영덕대게라는 주제로 펼쳐진 올해 영덕대게축제는 영덕대게를 비롯해 지역 특산물을 맛볼 수 있는 편의 시설과 신규 프로그램 도입 등의 새로운 시도가 돋보였다는 평가다.
첫날, 차유마을(경정2리 대게원조마을) 안전 기원제로 막을 올린 축제는 400여 명의 읍·면 풍물패와 사회단체가 함께한 신명 나는 퍼레이드로 강구 대게거리와 축제장에서 펼쳐져 방문객들의 어깨를 들썩이게 했다.
대형 먹거리푸드존은 대게라면, 멍게비빔밥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메뉴가 마련되었고 모든 점포에 키오스크를 설치하면서 투명성을 제고하는 등의 편의성을 높여 토요일 일부 점포가 조기에 매진될 만큼 높은 인기를 보였다.
체험 프로그램에선 축제 시그니처인 대게낚시를 비롯해 새로 도입한 대게 통발잡이 체험이 큰 호응을 받아 축제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부상했다.
통발잡이는 대게 외에도 지역사랑상품권이나 지역 특산품을 획득할 수 있어 첫선을 보인 프로그램임에도 거의 모든 회차가 매진됐다.
![]() |
지역민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모두를 즐겁게 했다.
강구 대게거리 상가에서 직접 출전한 영덕대게 손질대회는 짧게 5년 길게는 20년 이상의 경력자들이 제한된 시간 내에 대게 두 마리를 손질하고 플레이팅하는 과정을 경연하는 시연과 함께 나흘에 걸쳐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만드는 공연은 일반인도 노력을 통해 무대공연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함으로써 보고 참여하여 즐기는 행사를 넘어 관광객과 지역민이 함께 화합하는 축제의 취지에 부합했다.
올해 축제는 이전 삼사해상공원에서 해파랑공원으로 장소를 옮기면서 안전과 교통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었지만, 영덕경찰서, 영덕소방서, 모범운전자연합회 영덕군 지회 등 관계기관·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안전 관리와 교통 통제로 일부 정체에도 특별한 사고와 불편 없이 무사히 축제가 마무리됐다.
![]() |
영덕대게축제추진위원회 이상호 위원장은 "바람과 비 소식으로 축제 운영에 차질을 걱정했는데 여러 기관과 단체가 합심해 축제를 준비한 덕분에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해가 거듭될수록 진부해지지 않고 늘 새로운 도전과 콘텐츠로 발전해 나가는 영덕대게축제에 많은 분이 자랑스러움과 함께 기대도 크다"며, "참여해 주신 군민들, 방문객들, 그리고 주최 측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고 화합하는 최고의 축제로 오래도록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