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은 농협 영덕군 지부 모습 |
우려하던 농·어촌 소멸이 현실화 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농협중앙회가 발간하는 농민신문 등에서도 농촌 소멸을 막을 대책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이런 사정임에도 소멸 방지에 노력해야 할 농협과 수협·축협 등의 다수의 직원들이 외지에서 출·퇴근을 하면서 소멸을 부추기는 꼴이 되어 우려와 함께 이율배반적인 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물론 주거의 자유를 이유로 좀 더 나은 환경에서 문화생활의 영위와 의료시설이 편리하고 특히 자녀들의 학업 성취를 위한 자신들의 욕망과 함께 행정 공무원들도 인근 도시로 나가 생활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해 나무라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이들은 소멸해 가는 농·어촌의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모인 조직에 근무하는 만큼 직원들인 만큼 적절한 처신이 아니라는 것이다.
조합원들이 줄어들면 축소되고 통·폐합 등으로 직장을 잃을 수 있다는 위기의 상황에서 이들의 처신은 남의 일인 양 치부를 하는 듯 보여 큰 틀에서의 외지의 삶은 나무보다 숲만 바라보는 식으로 지양해야 할 삶이라는 것이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이들 조합들은 직원 공개 채용 시 부모나 응시생 중 누구라도 영덕군에 주소를 두고 있으면 군내 조합에 응시를 할 수 있어 악용될 소지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도시보다 경쟁력이 낮은 농·어촌 조합에 응시를 하기 위해 주소를 옮겨 놓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지역 내 한 농협 조합원 A모씨(남 62세)는 "지역에서 가임 시기에 있는 이들 대부분 공무원이나 농·수·축협 직원들인데 이들 중 대다수는 외지에서 출·퇴근을 하면 영덕 인구의 감소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요즘 영덕군 공무원들은 주민 눈치가 보여 대부분 영덕으로 귀향하는 추세인데 농·수·축협의 직원들은 아예 눈치를 보지 않는다. " 며 "지역 언론에서조차도 거론하지 않으니 인근 도시와 가까운 남정은 물론 가장 거리가 먼 창수나 병곡에서 근무하는 직원까지 출·퇴근하고 있는데 나날이 줄어드는 조합원들로 조합 자체의 운영도 어려우면 통·폐합이나 직장 폐쇄로 인한 퇴직 등 부메랑으로 돌아오는 만큼 농·수산업과 직장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이들의 결단이 필요하다. "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