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은 엠폭스 환자의 손과 팔에 돋은 발진 모습 |
엠폭스(Mpox)는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으로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두통, 호흡기 증상(인후통, 코막힘, 기침 등) 등 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하기도 하며 보통 1~4일 후에 발진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엠폭스는 코로나19와는 달리, 제한적인 감염경로(피부, 성접촉)를 통해 전파가 이루어지는 특성상 일상적인 접촉으로 발생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또한 특정부위(항문생식기)에 발진 수가 5개 미만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항문궤양, 구강 점막 궤양, 항문직장 통증, 안구 통증, 이급후증 등을 동반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발진은 얼굴과 입, 손, 발, 가슴, 항문생식기 근처 등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대체로 반점부터 시작, 여러 단계로(반점→구진→수포(물집)→농포(고름)→가피(딱지))로 진행되며 초기에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일 수 있으며, 통증과 가려움증 동반하기도 한다.
한편 이번에 확진된 15번째 환자는 경북에 거주 중인 외국인으로, 피부병변으로 의료기관에 내원 후 진료 의료진이 엠폭스 감염을 의심해 17일 관할 보건소로 신고했고,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1차 검사 및 질병관리청 2차 검사 후 판정했다.
이에, 경북도는 방역대책반과 현장대응팀 운영을 통해 추가 전파 차단을 위한 위험요인 및 감염경로 등에 대한 심층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진현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엠폭스 의심환자 밀접접촉이나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보건소로 상담해 줄 것"을 당부하는 한편"의료기관에서는 엠폭스 의심환자 진료시 안전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 감시와 신고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줄 것"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