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연내에 마무리하라는 지침을 부처에 내렸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결정은 해양산업 중심지로서 부산의 위상을 강화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해수부가 관할하고 지원해온 동해안 지역, 특히 우리 고장인 영덕과 울진을 비롯한 경북 동해안권 주민들에게는 일부 걱정 어린 시선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간 해수부가 수행해온 수산업·어촌정책 지원 기능이 경남권을 중심으로 집중되고 동해 북부권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오히려 영덕, 울진, 청송, 영양 등 동해안과 인근 내륙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새로운 정부 기관과 공공기관의 이전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수도권과 부산·울산·포항 등 대도시 권역에 편중된 행정·산업 인프라를 더욱 분산하고, 인구소멸 위기에 놓인 이 지역들의 경제 회생과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방안을 강구할 시점이다.
특히 최근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영덕 등지에서는 산업 기반과 지역 경제가 크게 위축되었다. 산불 피해 이후 재건을 넘어,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 정부의 기능 중 일부를 이들 지역에 이전·분산하는 것은 지역 주민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수산자원 관리, 해양·산림 연구기관 등 지역과 밀접한 분야의 공공기관을 영덕, 울진 등지에 분산 배치한다면, 관련 산업과 연계된 인재와 기업의 유입을 촉진하고 장기적으로 자립적 경제 생태계가 형성될 것이다.
이번 해수부 부산 이전이 영덕·울진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의 소외로 이어져서는 결코 안 된다. 정부는 이번 기회를 새로운 균형발전 전략의 발판으로 삼아, 동해안과 내륙 접경 지역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과감하고 실효적인 후속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발전이야말로 진정한 국가 균형발전의 실현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