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 같은 절망적 재난 상황에서 해당 지역 지자체장들은 피해 복구와 주민들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위해 연일 현장을 누비며 총력전을 펼치며 정부 지원을 이끌어 내기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기에 이철우 지사가 도정을 외면하고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한 결정이 도민들 사이에서 큰 우려와 논란을 낳았다.
산불 피해 지역은 내륙지역 의성에서 동해안 영덕까지 광범위하게 퍼졌으며, 가옥과 농지, 산림이 잿더미가 됐다. 이재민은 수천 명에 달하고, 일부 지역은 필수 기반 시설조차 복구되지 않아 도민들의 고통은 가중되고 있다.
이 같은 긴박한 재난 대응 상황에 도정의 수장이 개인의 정치적 여정을 우선시하는 모습은 지역사회에 실망감을 안겼다.
특히,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대선 출마를 위해 시장직을 사퇴한 사례와 비교되며, 이 도지사의 결정이 도의적 책임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며 재난 극복이라는 중차대한 과제 앞에서 정치적 야망보다 도민의 생명과 생계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것이 공직자의 본분이라는 비판이 따르고 있었다.아울러 오는 10월 말에서 11월 초까지 열리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가 열린다. 21개 회원국 정상 및 대표단, 기업인, 언론인 등 6,000여 명이 참석하게 되면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야 할 중차대한 시기다.
다행히 2차 경선에 탈락, 8일만에 다시 직무에 복귀하게 되었지만, 이 지사의 이번 행동은 지역 수장으로서 비판받기에 이견이 없다. 더불어 경상북도가 이재민들에게 1인당 30만 원씩 지급하는 재난 지원금의 지급 방식에 대해서도 논란이 이어진다.
현재 현금으로 지급하겠다는 방침이 지역경제 활성화보다는 일시적 생계 지원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대해 지역화폐로 지급할 경우, 지역 내 소비를 유도해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의 선순환을 이끌 수 있다는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일부는 현금 지원 방안이 그동안 국민의힘이 비판해 온 표퓰리즘 정책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도 나오며 이는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다. 따라서 현금이냐 지역 화폐냐의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재난 지원금이 단기적 위기 대응을 넘어 지역 경제 회복과 공동체 재건의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는 본질적 접근이 요구된다.
현재의 위기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다. 지역 전체의 사회.경제적 기반을 흔든 재앙적 상황이다. 이러한 시기야말로 공직자의 책임감과 리더십이 절실한 때이며, 정치적 행보보다는 피해 주민들의 상처를 보듬고 일상을 회복시키는 일에 전념해야 할 때다.
경북도민은 지금, 이 순간 도지사의 현장 중심 리더십을 기대하며 진정한 헌신과 책임 있는 자세로 이재민들의 아픔을 덜고 희망을 되찾아주는 따뜻한 리더십과 도민들에게 신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진정한 헌신과 책임 있는 자세로 도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도지사가 되길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