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경제

사고 나야 대책 세우나

최재환 기자 입력 2025.03.07 10:13 수정 2025.03.07 10:15

국지도·군도·농어촌도로 주변 공사현장 대형 공사차량으로 위험 도사려
달산 제1풍력단지 좁은 도로 농번기 주민 안전 위협, 도로 파손 심각


[고향신문=최재환기자] 고속도로나 국도가 아닌 국지도나 군도, 농어촌 도로를 이용하는 건설 현장은 주변 지역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되거나 도로 파손 등이 심각하다. 특히,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인 영덕군 달산면에서 진행 중인 제1풍력발전단지 공사는 주민들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면서 청년들이 반발하고 있다.
 

현재 풍력발전기 18기 설치를 위한 대규모 공사가 한창 진행되면서, 공사 현장을 오가는 대형 덤프 차량의 과속·과적 운행이 잇따르며 사고 위험성이 급증하면서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지만 단속은 전무 한 상태다.
 

공사 차량이 주로 이용하는 도로는 폭이 좁아 대형 차량 운행 자체가 위험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임에도 일부 차량 운전자는 규정 속도를 무시하고 중앙선을 넘나드는 난폭 운전까지 일삼고 있어 주민들과 일반 운전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해당 도로는 급경사와 급커브가 많아 차량이 제어력을 잃기 쉬운 구간이다.
 

이러한 위험 요소에도 불구하고, 대형 덤프 차량이 무리한 운행을 지속하면서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봄철 농번기를 맞아 농민들의 도로 이용이 증가하는 시기인 만큼 사고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

농기계와 보행자들의 이동이 잦아지는 상황에서 대형 공사 차량의 과속 운행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주민들은 공사 차량의 운행 시간 조정 및 제한 조치 등 교통안전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또한, 도로 훼손 문제도 심각하다. 대형 화물차들이 잦은 운행을 하면서 도로 곳곳에 균열과 파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로 안전성이 더욱 취약해지고 있다. 도로의 파손은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주민들은 공사와 관련된 차량 운행에 대한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도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대형 차량의 빈번한 통행이 추가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며, 더욱이 공사 관계자들이 사고 예방에 소홀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공사 관리 감독 강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고가 반복될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통해 공사 관계자 및 관련 기업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공사장 내 안전 관리뿐만 아니라 도로 주행 시, 대형 차량의 안전 대책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주민은 "공사 차량 운행에 대한 강력한 규제와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며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공사 자체에 대한 반대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민들은 단순한 안전 대책을 넘어, 공사가 지역 사회와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고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