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영덕군보건소전경 |
|
[고향신문=박문희 기자] 영덕군보건소가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응급의료 대응을 위해 ‘재난응급의료 대응 매뉴얼’을 발간했다. 이 매뉴얼은 사전 준비부터 현장 출동, 도착 후 임무 수행까지 총 6개 분야로 구성됐으며, 다수 사상자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담고 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이태원 참사 이후 재난응급의료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다수 사상자 사고대응을 위한 재난응급의료 비상 대응 매뉴얼’을 개정·배포했다. 이에 영덕군보건소는 지역 특성에 맞춘 자체 대응 매뉴얼을 제작해 실질적인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자 했다.
|
|
|
↑↑ 영덕군보건소 재난응급의료 대응 매뉴얼 표지.
|
|
이번 매뉴얼은 보건소의 신속대응반 운영 방안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영덕군보건소는 신속대응반을 3개 팀으로 구성해 운영하며, 다수 사상자 사고가 발생할 경우 1팀과 2팀이 즉시 출동해 분류반, 처치반, 이송반, 행정지원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의 혼선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응급조치를 가능하게 할 방침이다.
영덕군보건소는 제작된 매뉴얼을 직원들에게 배포하고, 이를 활용한 정기 훈련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매월 2회씩 실시되는 신속대응반 훈련에서 교육 교재로 활용하며, 실전과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을 진행해 실제 재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공재용 영덕군보건소장은 “해맞이 행사, 영덕대게축제 등 특정 시기에 관광객이 집중되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다수 사상자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이번 재난응급의료 대응 매뉴얼 발간을 통해 직원들의 현장 대응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의료 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매뉴얼 발간을 계기로 영덕군보건소는 재난 상황 발생 시 보다 철저한 대응 시스템을 운영할 방침이다. 향후 훈련을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지역 내 응급의료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