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이 최근 산불 피해로 주거지를 잃은 이재민들의 조속한 생활 안정을 위해 임시주택 제작 업체의 전문성과 시공 능력을 검증·심의하고 확인·점검반을 편성해 안정적인 주거시설 공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영덕군은 임시주택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전문 인력 43명으로 이뤄진 TF팀을 구성하고, 김광열 영덕군수를 중심으로 임시주거시설에서 생활하는 이재민들을 직접 찾아 민원과 건의 사항을 경청하는 설명회를 가진 자리에서 이재민들은 마을회관 등의 임시주거시설에서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문제와 집단생활의 불편함을 호소하며 조속한 임시주택 제공을 가장 많이 요구한 바 있다.
이에 영덕군은 이재민들의 신속한 일상 복귀를 위해 담당자를 현장에 급파해 임시주택을 제작하는 업체의 전문성과 시공 능력을 직접 검증했다. 또한, 검증된 업체 중 전문 건축사와 기술사로 구성된 자문 그룹의 심의를 거쳐 납기와 단가를 두루 부합하는 업체를 선정해 최종 물량을 배정함으로써 사업의 신속성과 형평성을 모두 잡았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영덕군은 문성준 부군수가 총괄반장을, 영덕읍장·지품면장·축산면장이 반장을 맡아 20명으로 확인·점검반을 3팀을 편성해 전문성을 발휘하는 각 분야에서 △전기 인입·검사, 가스 설치 △상하수도 설치·점검 △보건의료, 심리상담 등을 지원토록 해 사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확인·점검반의 각 전담자는 임시주택사업 현장을 관리·지원하는 것은 물론, 설치 현황을 매일 점검해 군청 상황실로 보고함으로써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와 변수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번 산불 피해로 영덕군에서 필요로 하는 임시 주택은 총 790동 중 4일 현재 568동이 공급되어 533동에 513세대 925명이 입주를 완료하는 발빠른 행정을 펼쳐오고 있다. 아울러 2명의 가구원이 필요로 하는 최소 면적인 기존 모델인 8평에 김광열 군수는 조금이라도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10.4평을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려 한 것은 좋은 행정의 표본으로 평가된다.
문제는 집단 이주를 할 수밖에 없는 자기 땅이 없거나 임시 주택 건물을 들어설 수 없는 이재민의 경우 영덕군에서 확보한 부지에 임시 주택을 놓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영덕군에서 마련한 부지는 워낙 좁은 터에 많은 물량을 채우려다 보니 이웃간에 정나눌 수 있는 공간은 물론 마당도 없고 특히, 임시주택간 이격거리가 2M정도에 불과해 개인 프라이버시는 물론 전면이 아닌 뒷쪽의 임시 주택들은 조망권도 전혀 없는 감옥과 같은 공간이라며 불만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은 것 또한 현실이다.
물론 프라이버시 문제와 함께 집단생활의 불편함을 호소하며 조속한 임시주택 제공을 요구하는 이재민들과 더불어 임시 공동 주택 마련을 위해 지주들에게 임차를 해야하는 영덕군으로서는 넓은 공터를 이재민들에게 임시 주택 부지로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논리는 일견 이해는 간다. 하지만 길게는 2년까지 지낼 수밖에 없는 이재민으로서는 앞에서 제기한 내용들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내용이다.
김광열 군수도 이러한 지적에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이재 입주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입주를 원해 공급 우선으로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며 "우선 이웃끼리 정 나눌 수 있는 공간 마련은 물론 향후 추진하는 임시 주택의 배치의 경우 공간을 활용한 삶의 질 향상에 신경을 쓰겠다는 입장이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속담을 영덕군 공무원들은 되새겨볼 필요가 있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