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런 배경에는 우선 영덕농협 주유소가 설립되게 되면 대형 업체로 둔갑하면서 소규모 영세 유류업자들과의 경쟁에 뒤처져 고사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반발이 이어졌던 것이 현실이었다. 반면에 지역주민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았다. 조합원뿐 아니라 일반 주민들도 저렴한 기름값과 쾌적한 환경 덕분에 만족감을 표했다.
이런 상황을 거처오면서 최근 몇 년 사이, 농협 주유소의 운영 방식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가격은 예전만큼 저렴하지 않으며, 특히 세차 요금은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많다. 과거에는 차량을 가득 주유하면 세차 요금을 할인해 주거나 무료로 제공하던 정책이 있었지만, 지금은 주유량과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이 부과된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운영 변화가 경쟁 부재 속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주민 박모 씨(52)는 "다른 선택지가 없으니 울며 겨자 먹기로 농협 주유소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세차 한 번 하려면 예전보다 두 배는 더 드는 느낌이다. 예전에는 조합이 지역을 위한다는 믿음이 있었지만 이제는 일반 상업시설처럼 이익만 쫓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세차 시설이 교체되면서 요금이 인상됐고, 이에 대한 안내는 있었지만, 그 배경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없었다. 주유 고객에게 어떤 혜택도 없이 일괄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이용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 농협이 내세웠던 '가득 주유 시 연비 차이 없다'는 슬로건과 달리, 지금은 주유량과 관계없이 동일한 비용이 부과되는 역설적 상황도 불만의 원인이다. 문제는 이 같은 운영 방식에 대해 주민들이 제기할 수 있는 공식적인 창구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다른 주유소가 있다면 시장 논리에 따라 다른 선택지를 고려할 수 있었겠지만, 현재로선 영덕읍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곳은 농협 주유소뿐이다. 이에 따라 지역경제의 건강한 순환과 주민 권익 보호를 위해 공공성이 강조되는 농협의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독과점의 전형적인 폐해라고 지적한다. 한 지역경제 연구자는 "경쟁이 사라지면 소비자 후생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농협처럼 지역 기반의 협동조합이 영리를 우선시할 경우, 공공성과의 균형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공공성을 기반으로 설립된 농협이 지역민을 위한 혜택을 제공하기보다는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가격 정책을 일방적으로 추진한다면, 이는 조직의 설립 취지에도 어긋나는 일일 것이다. 지금 이 순간도 영덕읍을 비롯한 주변의 주민들은 선택의 여지 없는 상황에서 울며 겨자먹기로 주유소를 찾고 있다.
공공성을 표방한 농협이 진정으로 지역민과의 신뢰를 회복하고자 한다면, 이익보다 신뢰를 우선하는 운영 철학으로의 회귀가 필요하다. 독점은 이윤을 보장할지 몰라도, 신뢰까지 담보할 수는 없다는 것이 주민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