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오피니언 기고

영덕군의 잃어버린 7년

고향신문 기자 입력 2021.04.26 15:46 수정 2021.04.26 15:48

장 성 욱

영덕군은 지난 7년 동안 도대체 무엇을 했나?

많은 영덕 군민들이 지난 7년 동안 해 놓은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한다.

7년 전 보다 먹고 살기가 나아 졌는가? 군민들이 더 행복해 졌는가? 인구는 증가 했는가? 행정 경쟁력은? 재정자립도, 청렴도는 또 어떤가?

 

모두 7년 전 그대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전국 231개 시군구 중 사라질 순위 9위인 영덕,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군민들의 얼굴에 삶의 의욕과 희망이 사라진지 오래고 ‘이게 군정이냐’라는 비난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우리는 지난 7년 동안 더 잘살 수 있는 많은 기회를 놓쳤다.

 

동서4축 고속도로와 동해중부선 철도 완공에 앞서 미리 볼거리, 먹거리 등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만반의 준비를 했었더라면 관광 영덕의 이미지는 크게 바뀌었을 것이다.

 

수 십 년째 방치되고 있는 고래불 관광지 해양복합타운 개발도 농지 규제철폐, 민간 또는 외국자본 유치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왔더라면 지금쯤 동해안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고 있을 것이다.

 

원전 추진을 찬성했다가 주민투표를 방해하는가 하면 결국 잠정 보류 하는 등 갈팡질팡하면서 원전유치 특별지원금을 그대로 반납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전국에서 자신에게 가장 표를 많이 준 영덕군을 위한 선물이라는 강구연안항 사업도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조체계와 적극적인 의지만 갖추었어도 잡을 수 있는 대어였다.

 

해수부에서 원전과 맞먹는 3,026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고시한 사업이 무능과 무관심으로 10분의 1 수준의 방파제 건설 사업으로 쪼그라들었다.  

 

필자는 강구연안항 사업 재추진을 위하여 87일간의 1인 시위를 하고, 수차례 해수부 국장과 기획예산처 국장을 찾아가 재추진 약속까지 받아냈다. 그러나 영덕군의 소극적인 태도와 방해공작으로 추진할 수 없었다.

 

결국 강구면민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강구면 개발위원회와 수산과장과의 간담회가 개최되었고, 이 자리에서 영덕군은 2017년 연말까지 예비타당도 조사를 위한 예산을 확보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영덕군은 이런 약속을 저버리고 강구 연안항은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거짓말만 늘어놓고 지금껏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일이 되고 안 되고는 둘째 치더라도 이런 정신자세로 일하니 주는 떡도 못 먹는다는 욕을 얻어먹을 수밖에 없다. 

 

고속도로와 철도가 열리는 호기가 왔을 때 착실히 준비하고, 원전 문제에 군민의 뜻을 모아 효율적으로 대처하며, 고래불 관광단지 조성, 강구연안항과 같은 큰 사업에 혼신의 힘을 바쳤다면 영덕의 지도가 크게 바뀌었을 것이다. 

 

중앙에서 내려다 주는 예산과 사업을 집행하고 행정의 주어진 일만 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이런 일은 과감히 부하 공무원에게 위임하고 훗날 영덕 군민들의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일에 그 직을 걸어야 한다. 

 

7년의 긴 세월 동안 아무것도 해 놓은 것이 없다는 말이 군민들 사이에 공공연하게 나도는 것은 하늘과 군민들에게 큰 죄를 짓는 것이다.




저작권자 고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