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포항·영덕·울진·울릉 한 목소리 내 규탄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기로 결정하자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가장 인접한 국내에서는 곳곳에서 일본정부의 결정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과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피폭 가능성에 더해 쿠로시오 해류를 타고 미국을 거쳐 5∼10년 안에 한국 앞바다까지 방사능 오염수가 도달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인데 이 때문에 수산업에 종사하는 어민은 물론 수산물을 판매하는 종사자들과 수산물 먹거리를 방사능 오염 우려로 인해 상실될 수도 있다며 우려하는 전 국민들도 반발하기는 마찬가지다. 특히,일본과 동해를 두고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경상북도와 동해안 주민들의 반발은 한층 더 거세지는 양상이다.
이런 사정은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방출을 결정한 뒤 15일 경상북도 동해안상생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대해 즉각 철회를 요구하는 규탄 성명서를 15일 발표했다.
경상북도 동해안상생협의회는 경주시,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 울릉군 5개 시·군이 상호간 공동발전, 특색 있는 지역발전의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하여 2015년에 구성된 지방자치단체 협의체이다.
협의회 소속 시·군은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ALPS 처리수 처분의 기본 방침’을 수립한 것에 대해 “우리 시·군민은 물론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일본 정부의 결정을 용납할 수 없다”며 함께 뜻을 모았다.
협의회 회장인 이희진 영덕군수는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한다는 것은 전 인류와 생태계를 방사능으로 오염시키겠다는 것이다”며, “일본 정부는 오염수 해양방류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경상북도와 정부에서 국민의 삶을 위협하는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행위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응을 해주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협의회의 주요 요구사항은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방류 계획 즉각 철회, 사죄 및 반성 ▲일본 정부의 오염수 처리과정 전반에 대한 명확한 검증 및 투명한 정보공개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해위에 대한 경상북도와 정부의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원전 오염수 방류를 강행할 경우 수산물을 포함한 관련 물품의 수입 중단 등이다.
협의회는 앞으로 경상북도와 정부에 지속적으로 의견을 관철할 예정이며, 시·군민이 방사능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