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달 26일부터 도내 10만 명 이하 12개 군에 대해 전국 최초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범 실시하면서 해당 지역에 포함된 영덕군의 경우 소상공인들이 모처럼의 호황을 맞고 있다.
경북도의 이러한 조치 배경에는 4월 달부터 중대본과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의 시범 시행에 대해 협의, 안정된 지역방역 상황과 어려운 지역경제를 고려해 우선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1단계를 시범 적용하기로 결정하고 도내 10만 명 이하 12개 군에 대해 전국 최초로 실시한 것이다.
시범지역에 대한 핵심내용으로 △5인 이상 사적 모임 해제 △500명 이상 행사의 지자체 신고에서 300명 이상으로 강화 △시설별 이용 인원 제한 전반적 강화 △영화관, 공연장, 도소매업(300㎡ 이상) 등의 시설별 이용 인원 제한 해제 △종교시설은 수용인원의 30%에서 50%로 확대 및 모임·식사·숙박 자제 등이다.
이에 따라 해당 군에 포함된 영덕군도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면서 주민 스스로 자발적 방역으로 확진자 발생 없이 안정세를 유지해 나가고 있는 실정에서 지역의 소상공인들은 코로나 이전의 상황에 70%정도의 영업율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코로나 시대에 이색적이게도 호황을 표현할 정도다.
이 시기에 영덕군에서 보내는 안전재난문자 또한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가 대부분인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간혹 외지의 확진자가 다녀간 문자가 뜨면 소상공인들은 혹여 지역에 감염자가 발생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며 다음 문자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다행이 더 이상 확진자가 나타나지 않던 영덕군에 최근 울진과 경기도 수원시의 확진자들과 접촉했던 지역민들이 확진된데 이어 27일에는 20대 초등학교 교사가 영덕군의 40번째로 확진이 되면서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40번 확진자는 도민체전을 위해 운동을 하면서 확진이 된 만큼 밝혀진 동선도 다중 이용이 많은 곳에서 주로 활동한 상황이다 보니 확진자가 늘어날 수도 있어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이에 따라 영덕군 방역당국도 해당 면에 이동 선별진료소를 설치하고 밀접접촉자를 비롯한 주민 100여명을 검사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밀접 접촉자가 많아 주민 불안은 커지고 있다.
강구면에서 식당업을 하는 A모씨(여 58세 강구면 동해대로)는 “코로나19로 어려웠던 시기를 겪고 있다가 경북도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모처럼 호기를 맞아 영업이 정상화 되어 가는데 확진자가 다녀갔다거나 발생한 문자가 오면 `화들짝' 놀란다.”며 “다행히 백신 접종도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어 안심이 되지만 그럴수록 안전에 대한 감각이 무뎌지면 안 된다는 신념으로 업주들도 방역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계속 확진자가 발생한다면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가 높다.”고 안타까워했다.
코로나19를 이기는 길은 나 혼자만 애쓴다고 되는 것이 아닌 모두가 협력하여 예방하는 길인만큼 주민들의 협조가 간절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