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오피니언 사설

[사설] 후세대를 위한 우리의 정치적 책임 

고향신문 기자 입력 2021.06.01 10:34 수정 2021.06.01 10:37

바야흐로 대선국면이다. 

선거 때면 항상 익숙한 구호들이 언론의 제목으로 장식되고 있는데 이번도 예외는 아니다.

“쇄신하고 바꾸겠습니다.” 선거 때마다 신물 나게 들었던 말이다. 

이 말들을 믿고 정권을 바꾸기도 했지만 지나고 나니 역시나 그 나물에 그 밥이었다.

잘못된 뭔가를 바로 잡겠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런데 그 바로 잡겠다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모르겠다. 젊은이들이 하면 바꾸고 기성세대가 하면 못 바꾸는 그런 것인가?

 

오직 대권을 잡기 위한 몸부림 이상, 이하도 아니다.

하지만 인구의 90%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는 우리나라의 모든 정책이 도시 중심에 있어 우리 같은 시골은 대통령 선거는 한 발자국 멀리 있다. 

 

영양군 1만대, 청송군 2만대, 영덕군 3만대의 인구를 가진 우리 지역은 사실 대선보다는 지방선거에 더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대선 이후 곧 이어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온통 대선 보도 일색인 언론에 의해 묻혀 있다.

그럼에도 돌이켜 보는 우리의 지방선거를 보면 7번의 동시선거를 치루면서 후보자들이 항상 외쳤던 공약은 지역이 낙후되었으니 지역발전에 자신이 적임자임을 내세우며 갖은 공약들을 내세웠다. 

하지만 다음 선거 때면 당선이 되서 행정과 의회를 이끌었던 낙선했던 또 신진 인사들이든 모두 외치는 구호는 낙후된 지역을 살리기 위해서는 또다시 자신이 적임자임을 내세운다. 그동안은 뭘 했는지 모르겠다.

 

정치는 주체와 중심은 모두 민(民)이다.

그러나 가슴 아프게도 현실은 정반대다. 심부름꾼이 되겠다는 사람들은 주인행세를 하고 스스로를 중심에 위치시킨다. 

수십 년을 특정 정당에 몰표로 지원했지만 주민에 대한 감사보다는 공천권을 가진 자에게 충성 맹세를 하지만 주인인 유권자에게는 주인행세다. 그렇게 오랜 세월 당을 지지한 유권자에 대한 태도가 아니다. 이러는 동안 농어촌의 한 지역으로 극심한 인구 감소에 소멸 위기의 군으로 전락하고 있으니 그 숱한 지역 발전의 공약은 어디에 있는가?

 

이런 얘기를 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이런 환경에서는 제대로 된 후보자들이 발붙일 곳이 없기 때문이다. 군수를 하려는 사람이든 지방의원을 하려는 사람이든 공천권을 가진 국회의원과의 관계를 내세운다. 

제대로 된 사람이라면 누가 이런 정치적 환경에서 자신의 소신보다는 공천권자에게 충성하겠는가? 그러다 보니 사람이 없다는 탄식이 항상 끊이지 않는다.

우리는 언제 이 지역에서 실현 가능한 지역발전에 대한 대안들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주민의 지지를 얻은 후보자가 정당의 공천을 받아 당선되고 공천한 정당이 그 공약의 실현을 위해 최대한 뒷받침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까?

 

정당이 쇄신되어야 한다. 이제는 지역당협위원장도 해당 지역 주민들이 선출하게 해야 하며 주민에 의해 뽑힌 당협위원장이 지역 정치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그래야 당의 의사결정에서 주민의 뜻이 제대로 반영된다. 이게 가능하려면 당에만 맡겨 둘 일이 아니라 주민이 의식을 바꾸어야 한다. 

권력에 기대어 사익을 도모하려 하거나, 당연한 듯 묻지 마 지지를 보낸다면 지역정치의 쇄신과 개혁은 일어나지 못한다. 그러면 지역 정치의 밝은 미래는 없다. 

우리는 후세대에 부끄럽지 않은 고향을 물려줄 의무가 있다. 또 새 정치의 기반을 다져야 할 책임도 있다. 

 

선거의 계절이다. 

다가오는 선거를 통해 이제 그 의무와 책임을 곰곰이 생각해 볼 때다.



저작권자 고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