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말 영덕군 인구수는 33,210명이다. 이는 5년 전인 37,361명에 비해 4,151명이나 줄었다. 이런 통계로 보면 해마다 830명이 주는 결과로 이어지는데 이런 사정은 해마다 더욱 악화가 될 전망이어서 지역의 미래가 암울해질 수밖에 없는 처지다.
반면 출생은 2019년 190명에서 156명, 104명, 11명, 83명에 이어 작년에는 81명이다. 이런 사정으로 실제 지역의 인구는 3만 선이 무너졌다는 이야기도 심심찮게 들린다. 이런 주장들은 우선 출생 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유입 인구는 거의 없고 사망 인구만 급격히 늘어나는 상황에 더해 직장인이나 소상공인들도 주소만 두고 인근 도시에서 출·퇴근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인데 이에 따라 직장인 특히, 공무원이나 금융기관의 직원들에 대해 페널티를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여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들은 주거의 자유를 내세워 반발할 수 있으나 페널티를 적용하는 것은 인사권자의 재량이므로 반드시 실천하는 의지를 보여야만 한다는 지적이다.
인구가 줄면서 지역의 소상공인들도 궁핍함을 면치 못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등 지역 경기 악화가 되풀이되는 처지인데 이런 상황이 계속 이어진다면 지역 소멸은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 근래 들어 주위에 출생하는 아기들의 울음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나 싶을 정도로 지역에서 아이들이 귀한 존재가 되었다.
이런 사정으로 9개 읍·면에서 초등학교 입학생 수가 나날이 줄어들어 거의, 대부분 폐교를 앞두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사정은 전국의 대부분, 지자체들이 겪는 현상이지만 특히, 농어촌 지역 지자체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이에 따라 각급 자치단체마다 인구 늘리기에 사활을 걸고 대책 마련에 매진하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맨날 모여 지역 소멸을 걱정하며 인구 늘리기 방안을 위한 대책 회의가 연일 이루어지고 있지만 특별한 기업도 없고 농촌 소득도 보장되지 않는 형편에 노령인구가 절대적인 현실이어서 유입 인구를 늘일 조건도 갖추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또 출산 인구도 가임 여성이 절대 부족한 현실에서 인구 늘리기 회의 하는 대상은 가임 남·여가 없다 보니 대부분 불임 남·여들이 모여서 난제를 풀고 있는 형국이어서 현실성 없는 대책이라는 지적도 흘러나온다.
행정에서 아무리 인구 늘리기를 주창하더라도 공허한 메아리로 돌아올 뿐이다. 이에 따라 행정이 내놓은 신비한(?) 방안이 생활 인구 늘리기라는 비책을 들고 나서 인구 늘리기 정책은 사실상 포기한 것이 아닌가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영덕군에서 밝힌 2년간 총 1만 3,033명의 생활 인구가 유입되는 성과를 올려 지역 활성화 실적에 기여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과연 그럴까? 과거에는 사람은 서울로 말을 제주로로 라는 말로 새로운 삶을 위해 젊은이들이 대거 도시로 떠나면서 농촌은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 현상이 해를 거듭하며 심화되는 악순환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 결혼 년령은 높아지고 독신주의도 팽배한 가운데 결혼을 한 부부들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출산율도 저하하면서 인구 감소는 끝 모를 추락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농·어촌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 누구든지 살고 싶은 곳으로 만들어야 하며 열악한 교육환경 개선과 의료, 문화, 복지 등 생활여건을 개선해야 농·어촌의 소멸을 막을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는 허상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애를 놓고 싶어도 육아와 교육에 대한 전적으로 국가가 책임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는 한 획기적인 인구 늘리기는 공염불에 불과하다. 출근하면서 편안하게 애를 맡기고 퇴근 후에 아기를 데리고 가며 교육비에 대한 부담도 전적으로 책임지지 않는 한 인구 소멸 시계는 멈출 수 없어 보인다.